본문 바로가기

Trend & Issue

2월 2주차 모바일 트렌드 소식을 전해드려요!

안녕하세요~

지난주 소식, 어떠셨나요? 이번주에도 다양하고도 풍성한 모바일 업계의 따끈따끈 소식을 전달드리겠습니다.

 

1. 마이크로소프트, 위치기반 SNS 포스퀘어에 투자

여러분 포스퀘어라고 들어보셨나요? 포스퀘어는 맛집, 옷가게 등의 정확한 위치를 지도 기반으로 소개해주고 후기 등을 사용자가 기록하는 이른바 위치기반 SNS 랍니다.  우리나라에도 페이스북 앱 등을 통해 꽤 많은 사람들이 포스퀘어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걸로 알고 있는데요, 최근 마이크로소프트가 포스퀘어에 1,500만달러를 투자했다네요!

사용자 수가 무려 4,500만명에 달하는 서비스를 MS가 인수했다고 하니 귀추가 주목됩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40205080901

 

foursquare
foursquare by cambodia4kidsorg 저작자 표시

 

2. 구글, 무인 자동차를 활용한 공짜 택시 내놓나? 광고 연계 특허 출원

최근 구글이 자체 개발한 무인 자동차를 이용하는 승객을 대상으로 무료 택시서비스를 제공하는 광고 시스템에 대한 특허를 출원해 화제가 되고 있는데요! 글자 그대로 구글의 특정 서비스를 통해 구글의 무인 자동차9택시)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택시를 공짜로! 탈 수 있다는! 것이 특허의 핵심이랍니다.

예를 들어 구글에서 맛집 정보를 검색한 사용자가 구글 무인 택시를 이용해 해당 맛집으로 이동할 경우, 광고주(레스토랑)가 택시비의 일부를 지불한다는 구조인데요, 정말로 점점 발전하는 모바일 지도와 연계된 시장에서는 안되는 것이 없는 듯 합니다!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4012518391732378 

 

google car
google car by Trevor Pritchard 저작자 표시동일조건 변경허락

 

3. 모바일 플랫폼, 뉴스 컨텐츠 전쟁 시작!

모바일 사용자를 잡기 위한 뉴스 콘텐츠 전쟁이 본격화되었다는 기사를 소개드립니다.

해외에서는 이미 플립보드나 feedly, AOL, DIGG 등 뉴스 큐레이션이 이전부터 주목을 받고 있죠. 이러한 큐레이션 서비스는 국내 사용자의 숫자도 점차 늘고 있는 추세인데요. 최근에는 페이스북이 뉴스 제공 서비스인 페이퍼앱을 출시 뉴스 컨텐츠 소비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카카오 뉴스라는 이슈 중심의 모바일 콘텐츠 서비스를 준비중이며 네이버의 네이버 포스트 서비스 또한 베타 테스트를 실시할 예정이라네요. 한편 국내 스타트업에서 출시한 나만의 관심사를 모아보는 '빙글' 이라는 큐레이션 앱 또한 모바일에서 쉽게 컨텐츠를 소비하고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어떤 플랫폼이 모바일 뉴스 컨텐츠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귀추가 주목됩니다. 

http://www.etnews.com/news/contents/internet/2911724_1488.html

 


큐레이션 앱 화면 사례 : Digg, feedly

 

4. 카카오, '마카오' 상표 출원.. 이번엔 무슨 사업?

카카오가  최근 `카카오마켓(kakao Market)'과 `마카오(Makao)'라는 이름의 상표를 출원했다고 전해지는데요.

이 상표 출원의 내용을 살펴보면 `내려받기가 가능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이동전화기용 컴퓨터 응용 소프트웨어', `컴퓨터게임소프트웨어' 등 총 8가지의 출원에 대한 설명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상표 출원의 내용을 보면 이번 출원이 카카오의 독자적 앱 마켓 론칭을 위한 사전 포석이라는 분석도 가능할 듯!한창 소문으로 떠돌았던 서드파티 앱 마켓인 티스토어 인수보다는 자체 앱 마켓 론칭으로 무게 중심이 기우는 듯 보입니다.

http://media.daum.net/digital/mobile/newsview?newsid=20140204205427322

 

5. SNS를 통한 소셜 마케팅 효과가 가장 높은 서비스는 어디? 구글플러스!

SNS를 통한 소셜마케팅이 일반화된 가운데 비용대비 매출 효과가 가장 높은 SNS는 구글플러스로 조사됐습니다. 

SNS 업계의 후발 주자라 상대적으로 사용자 기반이 상당히 취약하지만 실질적인 구매 유도 효과는 가장 뛰어났다고 하는데요. SNS 가운데 제품 관련 콘텐츠를 가장 많이 클릭하는 곳은 '트위터'였으며, 트위터의 쇼핑 콘텐츠 클릭률은38.8%로 전체 소셜미디어에서 일어난 쇼핑 콘텐츠 클릭 10건 가운데 약 4건을 차지했다네요.

반면 누리꾼이 쇼핑 관련 정보를 가장 많이 공유하는 SNS는 핀터레스트로 정보공유율이 약 38.5%에 달했으나, 구매전환율(0.53%)에서는 꼴찌를 기록해 광고주가 보기엔 가장 영양가 없는 SNS라네요^^
(물론, 이건 모두 미국 시장에서의 조사결과랍니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4020902019954801004

 

Google+ Adiction Policy
Google+ Adiction Policy by birgerking 저작자 표시

 

6. 모바일 쇼핑 거래량 급증세.. ‘점유율 20%

여러분은 모바일로..무엇을 구매하십니까?

앱 구매를 비롯해 음악, 만화, 도서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유료 컨텐츠는 물론, 모바일 주문을 통해 배송받는 온라인 쇼핑도 가능하다지만 이런 모바일 거래의 점유율이 20%나 된다는 점은 상당히 놀라운 일이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상에서 이루어지는 모바일 결제가 2013년 4분기 기준 세계 총거래의 19.5%에 도달했다고 글로벌 결제기업인 에이든(Adyen)이 발표했다네요.

또한 모바일 결제에 가장 많이 사용된 기기는 애플의 아이패드와 아이폰이라는 소식! 아래 기사를 통해 만나보세요~

http://www.itworld.co.kr/news/85811